美, AI 반도체 中 우회 수출 차단…말레이시아·태국 규제 추진
한국경제 | 2025-07-06 11:24:08
한국경제 | 2025-07-06 11:24:08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으로 밀수되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칩을 차
단하기 위해 태국과 말레이시아에 대한 수출을 제한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미 상무부가 추진 중인 수출 제한 규정
의 초안에 엔비디아의 첨단 AI 칩이 태국과 말레이시아를 거쳐 중국으로 들어가
는 경로를 차단하는 방안이 담겼다고 전했다. 새로운 규제안은 AI 칩 수출 시
라이선스 취득을 의무화하고, 허가된 미국 기업이 운영하는 클라우드 시스템 또
는 인증된 데이터센터를 통한 사용만 허용하는 내용 등을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와 태국 등 중국과 가까운 동남아 국가들이 포함될 전망이다.
미 당국은 말레이시아와 태국이 중국으로 향하는 AI 반도체의 우회 경로로 악용
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미 정부는 실제 일부 말레이시아 데이터센터가 중국 기
업에 의해 사용되거나, 원산지를 위장한 서버 반입 사례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
졌다.
트럼프 정부는 태국과 말레이시아에 대한 수출을 제한하면서 전 세계를 대상으
로 시행한 AI 수출 규제를 재정비할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정부의 정책 수정
은 바이든 정부의 규제가 복잡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미 상무부는
지난 5월 "바이든 정부의 AI 규칙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관료적이어서 미
국의 혁신을 방해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정부 말기였던 올해 1월 시
행된 'AI 확산 프레임워크'는 전 세계 국가를 동맹·파트너 국가
, 일반 국가, 중국·러시아·북한 등 우려 국가로 나눠 차별적으로
AI 반도체 수출을 통제하는 규정이다.
하지만 상무부가 새로 마련한 초안은 해외 데이터센터에서 미국산 칩을 사용하
려면 어떤 보안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내용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
다. 블룸버그는 엔비디아 칩을 대량 수입하기로 한 중동 지역에서 중요한 논쟁
거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상무부는 블룸버그의 이런 보도에 대한 논평 요
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0863H20250706.114053S;1;20250706;114056
1001;0000;0000;0000
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장난치다가"…인형뽑기 기계 안에 갇힌 20대
#####
20대가 인형뽑기 기계 출구로 몸을 밀어 넣었다가 안에 갇히는 일이 벌어졌다.
6일 경찰과 소방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께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의 한 인형뽑기 방에서 20대 남성 A씨가 기계 안에 갇혔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지인들의 신고로 경찰과 소방 당국이 출동하는 사이 A씨는 기계 안에서 발로 문
을 부숴 자력으로 빠져나왔다.
경찰은 A씨가 친구들과 장난을 치다가 기계 안으로 들어갔다가 갇힌 것으로 보
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구조 요청을 받고 출동했지만, 그 사이 A씨가 스스로 탈출
해 현장에서 상황이 마무리됐다"고 말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하기 위해 태국과 말레이시아에 대한 수출을 제한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미 상무부가 추진 중인 수출 제한 규정
의 초안에 엔비디아의 첨단 AI 칩이 태국과 말레이시아를 거쳐 중국으로 들어가
는 경로를 차단하는 방안이 담겼다고 전했다. 새로운 규제안은 AI 칩 수출 시
라이선스 취득을 의무화하고, 허가된 미국 기업이 운영하는 클라우드 시스템 또
는 인증된 데이터센터를 통한 사용만 허용하는 내용 등을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와 태국 등 중국과 가까운 동남아 국가들이 포함될 전망이다.
미 당국은 말레이시아와 태국이 중국으로 향하는 AI 반도체의 우회 경로로 악용
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미 정부는 실제 일부 말레이시아 데이터센터가 중국 기
업에 의해 사용되거나, 원산지를 위장한 서버 반입 사례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
졌다.
트럼프 정부는 태국과 말레이시아에 대한 수출을 제한하면서 전 세계를 대상으
로 시행한 AI 수출 규제를 재정비할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정부의 정책 수정
은 바이든 정부의 규제가 복잡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미 상무부는
지난 5월 "바이든 정부의 AI 규칙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관료적이어서 미
국의 혁신을 방해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정부 말기였던 올해 1월 시
행된 'AI 확산 프레임워크'는 전 세계 국가를 동맹·파트너 국가
, 일반 국가, 중국·러시아·북한 등 우려 국가로 나눠 차별적으로
AI 반도체 수출을 통제하는 규정이다.
하지만 상무부가 새로 마련한 초안은 해외 데이터센터에서 미국산 칩을 사용하
려면 어떤 보안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내용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
다. 블룸버그는 엔비디아 칩을 대량 수입하기로 한 중동 지역에서 중요한 논쟁
거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상무부는 블룸버그의 이런 보도에 대한 논평 요
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0863H20250706.114053S;1;20250706;114056
1001;0000;0000;0000
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장난치다가"…인형뽑기 기계 안에 갇힌 20대
#####
20대가 인형뽑기 기계 출구로 몸을 밀어 넣었다가 안에 갇히는 일이 벌어졌다.
6일 경찰과 소방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께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의 한 인형뽑기 방에서 20대 남성 A씨가 기계 안에 갇혔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지인들의 신고로 경찰과 소방 당국이 출동하는 사이 A씨는 기계 안에서 발로 문
을 부숴 자력으로 빠져나왔다.
경찰은 A씨가 친구들과 장난을 치다가 기계 안으로 들어갔다가 갇힌 것으로 보
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구조 요청을 받고 출동했지만, 그 사이 A씨가 스스로 탈출
해 현장에서 상황이 마무리됐다"고 말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