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뉴스속보

"압구정·성수·여의도" 조 단위 노후주택 일감 쏟아진다
비즈니스워치 | 2025-07-04 06:46:03

[비즈니스워치] 정지수 기자 jisoo2393@bizwatch.co.kr

상반기에만 28조원에 육박하는 재건축·재개발(도시정비사업) 일감을 따낸 건설사들이 하반기에도 조 단위 추가 수주에 나선다.



건설사들은 강남권과 성수, 여의도 등 고가 노후주택이 밀집한 지역을 하반기 주요 수주 목표로 삼았다. 이들이 공통으로 관심을 두고 있는 사업지에서는 수주 경쟁이 벌어질 전망이다.





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잠실우성1·2·3차 재건축 조합이 오는 12일 시공사 선정 총회를 열고 우선협상대상자인 GS건설과 수의계약 여부를 결정한다.



잠실우성1·2·3차는 1981년 준공한 단지로 최고 층수 15층의 1842가구로 구성됐다. 재건축을 통해 최고 층수 49층의 2680가구로 탈바꿈한다. 공사비는 1조6934억원이다.



GS건설은 지난달까지 도시정비사업에서 2조1949억원의 일감을 따냈다. 이달 시공사선정총회가 예상된 잠실우성1·2·3차와 중구 신당10구역 재개발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확보한 만큼 수주액은 급증할 전망이다.



GS건설은 지난달 부산 사직3구역 재개발에도 단독으로 입찰했다. 이 외에도 여의도 삼부 재건축압구정 재건축 지구 4, 5구역 등의 사업 참여를 검토 중이다. 하반기 시공사 선정을 예고한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에도 입찰 의향을 드러냈다.



대우건설도 도시정비사업 수주액 증가를 기대한다. 이 회사는 상반기에 8673억원을 수주하는 것에 그쳤다.



대우건설은 용산 청파1구역 재개발과 강동구 천호동532-2 재개발에 단독으로 입찰했다. 여의도 시범 재건축도 수주를 노린다.



특히 대우건설은 지난달 19일 강남구 개포우성7차 재건축의 시공권을 놓고 삼성물산과 수주전을 벌이고 있다. 



최고 14층 높이의 15개동, 802가구의 개포우성7차는 재건축을 통해 35층 높이, 1122가구로 다시 지어진다. 조합이 제시한 공사비는 6778억원이다. 시공사 선정 총회는 내달 23일이다. 



대우건설은 개포우성7차 재건축의 사업비 조달금리로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0.00%'와 '분양 수입금 내 기성불' 등의 조건을 제시했다. 삼성물산은 '사업비 전체 한도 없는 최저금리 책임 조달', 3.3㎡(평)당 공사비로 조합원이 제시한 금액(880만원)보다 저렴한 868만9000원 등을 내세웠다.



상반기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이 5조7195억원에 달했던 삼성물산은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 외에 압구정 3구역4구역에 관심을 보인다.



특히 압구정3구역은 삼성물산과 GS건설 외에 HDC현대산업개발도 노리고 있다. 해당 사업지는 압구정동 396-1 일대다. 현대 1~7차, 현대 10·13·14차, 대림빌라트 등 3934가구를 최고 층수 70층, 5175가구로 다시 짓는 사업이다.



삼성물산은 성수전략정비구역 중 2·3·4지구의 입찰 참여를 검토 중이다. 1구역은 GS건설과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등이 입찰 의향을 밝히는 등 경쟁이 과열했다는 판단이다.




압구정2구역 신현대아파트./사진=김미리내 기자



지난달까지 5조5357억원을 수주한 현대건설은 성수1지구 외에 압구정2구역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달 23일에는 성북구 장위15구역 재개발에도 단독으로 입찰했다. 전라북도 전주 전라중교일원구역 재개발 참여도 검토 중이다.



압구정3구역성수1지구에 사업 참여를 검토 중인 HDC현대산업개발은 서초구 방배신삼호 재건축 수의계약을 기대하고 있다. 1차와 2차 입찰에서 모두 단독으로 응찰해 우선협상대사장 지위를 확보한 상태다.



지난달까지 도시정비사업 수주고가 2조9521억원에 달한 롯데건설은 하반기에는 강남구 개포우성4차 재건축에 주력한다. 해당 사업지에서는 포스코이앤씨와 물밑 경쟁을 벌이고 있다.



1985년 준공한 개포우성4차는 전용면적 84~152㎡ 459가구 규모다. 단지는 재건축을 통해 최고 층수 49층, 공공임대주택 128가구를 포함해 1080가구로 다시 지어진다. 공공임대주택을 제외하더라도 기존 주택에서 493가구가 더 늘어나는 등 분양 물량이 많아 사업성이 뛰어나다고 평가받는다.



롯데건설은 개포우성4차 수주를 위해 입주 및 분양을 앞둔 '청담 르엘'(청담삼익아파트 재건축)과 '잠실 르엘'(미성크로바 재건축) 등을 내세우며 경쟁 우위 확보에 나섰다.



포스코이앤씨는 자사 고급화 브랜드인 '오티에르'를 앞세워 개포우성4차 재건축 수주를 노린다. 2022년 해당 브랜드를 공개한 이후 최근 성수동 장미아파트 재건축(오티에르 포레)에 이를 적용해 처음으로 분양 시장에 선보였다.



개포우성4차 재건축 조합 관계자는 "지난달 26일 서울시 정비계획 결정 고시가 났고 다음 주 대의원회 등을 거쳐 이달 중으로는 시공사 입찰 공고를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개포우성4차 아파트./사진=정지수 기자



포스코이앤씨는 올해 상반기에만 5조302억원을 수주하면서 전년도 수주 실적(4조7191억원)을 넘어섰다. 하반기에도 개포우성4차를 비롯해 서울 주요 입지의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시공권을 따낸다는 목표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개포우성4차와 더불어 송파한양2차 재건축, 성수2지구 등을 관심 있게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DL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는 수주 계획을 밝히는데 조심스러운 입장을 드러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선별 수주 기조를 바탕으로 여러 사업지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도시정비사업 수주 실적이 전혀 없었던 현대엔지니어링은 하반기에는 일감 확보 기회를 엿보고 있다.



주요 건설사들이 하반기에도 재건축·재개발 일감에 대한 수주 활동을 이어가면서 이들의 수주 실적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개 건설사의 정비사업 수주액은 27조8689억원으로, 전년(20조1796억원) 대비 38.1% 증가했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수주액이 27조8116억원에 달한다. 



다만 수주 경쟁 과정에서 저렴한 공사비를 약속하거나 무리한 금융 조건을 내세우는 일은 지양해야 한다는 게 업계 목소리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내거는 금융조건이나 등은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기조에 따라 사업 과정에서 실현이 어려울 수 있다"며 "과열한 재건축·재개발 수주 시장에 조합원과 건설사 모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