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뉴스속보

"주 7일 배송"의 명과 암
비즈니스워치 | 2025-07-12 13:00:03

[비즈니스워치] 김아름 기자 armijjang@bizwatch.co.kr

그래픽=비즈워치



[주간유통]은 한주간 유통·식음료 업계에서 있었던 주요 이슈들을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 드리는 콘텐츠입니다. 뉴스 뒤에 숨겨져 있는 또 다른 사건들과 미처 기사로 풀어내지 못했던 다양한 이야기들을 여러분께 들려드릴 예정입니다.[편집자]



일요일에도 "택배 왔어요"



아주 오래 전까지 갈 것도 없습니다. 10여 년 전만 해도 일요일에는 택배가 오지 않는 게 당연했습니다. 토요일에도 늦은 시간엔 택배가 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목요일이나 금요일에 주문을 할 때는 도착 예상 시간을 잘 계산해 봐야 했죠. 주말에 써야 할 제품이라면 월요일이나 화요일 쯤에 주문하는 게 상식이었습니다.



이 상식이 깨진 건 모두가 아시듯 '로켓배송' 덕분입니다. 원래 지역 식당의 할인 쿠폰을 판매하던 소셜커머스 쿠팡은 생필품과 육아용품 등을 판매하기 시작하더니 2013년 하반기부터 오전 중에 주문을 완료하면 당일 저녁까지 배송을 해 주는 당일배송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쿠팡의 로켓배송 차량/사진제공=쿠팡



초창기에는 인력 가동과 물류 정체 등의 이유로 다음날 배송이 오는 경우도 많았지만, 그렇다고 해도 2~3일이 걸리던 일반 택배보다는 월등히 빨랐죠. 서비스가 먼저 도입된 수도권, 기저귀나 분유 등이 급하게 필요했던 주부 등을 중심으로 로켓배송은 말 그대로 '로켓같은 속도'로 퍼져나갔습니다.



이후의 이야기는 모두 아실 겁니다. 이제 대한민국은 어디서 뭘 주문해도 당일 혹은 다음날 받을 수 있는 '당일배송 경제권'이 됐습니다. 올해부터는 국내 1위 택배 기업인 CJ대한통운도 주 7일 배송을 시작하면서 평일이든 주말이든 원하는 상품을 당일, 혹은 다음날 손에 쥘 수 있게 됐습니다. 



쿠팡로지스틱스 VS CJ대한통운



그런데 최근 업계에서는 이 '주 7일 배송'이 화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7월 들어 전국에 무지막지한 폭염이 찾아오면서 택배 노동자들이 과도한 업무 과중에 시달리고 있다는 문제 제기가 다시 한 번 수면 위로 올라왔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최근 택배 노동자 3명이 사망한 사실이 알려지며 이슈에 불이 붙었습니다. 



주 7일 배송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어지자 쿠팡로지스틱스(CLS)와 CJ대한통운 등 주 7일 배송을 운영 중인 기업들은 저마다 "우리는 괜찮은데 상대가 문제"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CLS는 지난 11일 보도자료를 통해 배송 기사들의 휴가를 독려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올해엔 반기마다 1회 이상, 연 2회 이상 쉬는 의무 휴무제를 도입했습니다. 1년에 고작 이틀 더 쉬는 셈이지만, 이마저도 다른 곳에는 없는 혜택이라는 거죠.



그러면서도 "일부 택배사가 추가 인력 투입 없이 주 7일 배송을 도입했다"며 CJ대한통운을 '저격'하기도 했습니다. CJ대한통운이 추가 인력을 확보하기보다는 각 배송 기사들의 휴일을 조정하는 순환근무제를 통해 주 7일 배송제를 도입했다는 비판입니다.




그래픽=비즈워치



당연히(?) CJ대한통운은 동의하지 않는 이야기입니다. 대한통운 측은 "매일 배송 물량이 일정한 게 아닌 만큼, 배송 물량에 따라 기사를 탄력적으로 배치하고 있다"며 "당연히 물량이 많은 지역이나 요일에는 외부 기사 등을 고용해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한통운은 지난 11일엔 폭염에 따라 휴식권과 작업중지권을 보장하기로 했다는 내용의 자료도 배포했습니다. 이미 6월부터 온열질환 증상이 있으면 배송을 중단하라고 권장했다는 내용도 알렸고요. 의무 휴식시간, 3일의 특별휴가 등 휴식 보장도 강화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벌레 나오니 집 태울까



정치권도 이 문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지난 대선을 앞두고 택배 기사들의 참정권 이슈가 불거졌었는데요. 결국 쿠팡을 비롯한 주요 택배사들이 모두 선거일인 6월 3일 배송을 멈추기로 했죠. 하지만 대선 이후로도 주 7일 배송에 대한 논쟁은 사그라들지 않았습니다. 



지난 10일엔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실,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실, 진보당 윤종오·정혜경 의원실,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실 등이 모여 주 7일 배송과 새벽배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일각에서는 주 7일 배송의 시스템을 개선하는 게 아닌, 주 7일 배송 자체를 없애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주 7일 배송이 택배 노동자들의 과로를 불러온다는 겁니다. 실제로 택배 노동자들이 과로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논의는 이뤄져야겠죠.




/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다만 이 논의가 배송 시스템의 개선이 아닌, 주 7일 배송의 금지 요구로 이어지는 건 문제가 있다는 게 업계의 반응입니다. 이미 소비자들이 높은 효용을 체감하고 있는 데다 대부분의 택배 기사들 역시 수익이 늘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겁니다. 추가 수당이 필요한 기사는 근무일을 늘리고 휴식이 필요한 기사는 주 5일제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입장입니다.



이미 주말에도 택배를 받는 환경이 익숙해진 상황에서 이를 되돌리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를 막으면 결국 또다른 편법이 등장하게 됩니다. 문제가 있다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합니다. 택배 기사들의 고강도 노동의 해결책은 휴식 보장이지 강제 휴식은 아닐 겁니다. 무조건적인 금지와 규제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는 역사가 말해줍니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